1. 시장성장 데이터 ;
  1. 성장률 5.89% - 세계 모바일 반려 동물 관리 시장 보고서 바탕으로 잡아주셨다.타겟이 글로벌인가? 국내인가?
  2. 동물 병원에서 조금 더 나아가서 ‘호스피털리티(펫케어)’ 영역으로 확장하면 시장성이 더 확보될 것같다. (진료/장묘/보험/훈련/웰빙)서비스로 사업 확장하면 마진이 더 높은 시장성 확보 가능.
  3. 글로벌로 타겟을 넓히면 좋겠다. (국내 타겟 기준 적음)
  1. 사용자 니즈 : https://m.post.naver.com/viewer/postView.naver?volumeNo=33393668&memberNo=18103913
  1. 블로그글이 출처여서 기사, 리포트, 뉴스, 정부 통계자료(통계청)와 같은 신뢰성있는 출처 필요. (추후 계획서 작성에 필요)
  1. 2020년 자료 기준이기에, 최신 데이터 최대한 필요
  1. 수익구조

[가장 많은 다운로드 순]

  1. 펫프렌즈 (반려동물용품 쇼핑앱)
  2. 포인핸드(유기동물 입양 및 실종동물찾기)
  3. 어바웃펫(쇼핑앱)
  4. 핏펫(건강정보앱)
  5. 멍냥보감 (반려동물과 여행정보)
  6. 인투펫
  7. 반려생활 (반려동물과 여행정보)

[최근 인기순]

  1. 포동
  2. 펫봄
  3. 우리엔
  4. 멍냥 보감 5)반려생활

[동물병원 국내 카테고리 내 순위]

  1. 반려생활 (수익확인 불가)

  2. 피카소펫 (수익확인 불가)

  3. 닥터테일 (수익확인 불가)

  4. 마이펫플래닛 (수익확인 불가)

[동물 펫케어 글로벌 매출높은 순 순위]

[동물 호스피털리티분야앱 글로벌 매출높은 순 순위]